본문 바로가기

승강기 정보/승강기 문서 관련10

승강기(엘리베이터) 교류전자개폐기 승강기(엘리베이터) 교류전자개폐기 (1) 여기에서 말하는 “교류전자개폐기”란 주회로가 주파수 50∼60Hz의 회로 에 사용되고, 전자석의 여자에 의해 폐로하고, 소자에 의해 개로하는 접촉자 접점을 갖고, 또한, 엘리베이터의 교류전동기 전원(U, V, W)을 개폐하거나 엘 리베이터의 동력입력 전원(R, S, T)을 개폐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2)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구동방식으로는 교류 전동기를 이용하는 방식과 직 류 전동기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여기서는 교류 전동기를 이용하는 제어 방식의 전자개폐기에 대하여 기술한다. (3) 교류전동기를 이용하는 승강기의 전동기 구동방식으로는 AC-1, AC-2, ACVV(AC Variable Voltage), VVVF(Variable Voltage Vari.. 2021. 7. 1.
철의 부식과 수명요인에 대한 의견 철의 부식과 수명요인 철의 표면에 공기, 물 및 여러 가지 이온 등이 닿으면 반응을 일으켜 녹이 형성되어 못쓰게 되는데, 이를 철의 부식이라고 한다. 철이 부식되는 이유는 공기 중의 산소와 물 때문이며, 철의 부식은 염화나트륨과 같은 염이 있을 때 더 가속화 된다. 부식은 부식 환경에 따라 전면부식과 국부부식으로 분류되며, 승강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장강판의 경우, 전면부식은 속도가 느려 실내에 설치된 경우, 건물과 같은 수명 유지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며, 포스코 연구소 자료에 의하면 스틸하우스의 구조재로 사 용되는 아연도금강판의 경우에 건식 내부환경으로 사용시 강재의 부식속도는 매우 느려, 미국철강협회에서 권장하는 최소 부착량으로 도금된 경량형강을 사용하면 주택 내에서 수명은 거의 반영구적이다.. 2021. 7. 1.
승강기 안전부품에 관한 고찰 승강기 안전부품 수명에 대한 고찰 승강기는 우리사회에서 자동차 이상으로 중요한 필수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 고 있으며, 2005년 12월말 기준으로 320,000여대가 설치∙운영되고, 매년 15,000여대씩 증설되어, 시장규모는 연간 1조 5,000억원에 달하며, 승강기 보유 대수는 세계 9위, 신규 설치대수는 세계 5위에 달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상과 같은 승강기 산업의 발전은 1980년도 말에 설치대수 1,800여대, 1990 년까지는 26,000여대에 불과하던 것이, 1990년 이후 대단위 공동주택의 건설 과 더불어 단기간에 급성장하여 왔으며, 이런 발전에 병행하여 정부에서도 1991년도에 승강기제조및관리에관한법률이 제정되는 등, 관리 인프라 구축과 홍보 및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2021. 7. 1.
승강기(엘리베이터) 안전 관리제도에 대하여 알아보자 승강기 안전 관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정보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승강기는 자동차, 버스, 지하철 등의 교통수단만큼이나 소비자의 일상생활 속에서 빈번히 이용하는 중요한 기기로 24시간 운영되 며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기기임. 우리나라의 경우, 90년까지만 해도 3만대에 불과하던 승강기가 6층 이상 건물에 엘리베이터 설치를 의무화하고, 고층건물의 신축 이 늘어나면서 15년 만에 10배로 증가하였으며, 승강기의 형태도 대형화, 고속화되어 백화점, 대형빌딩, 병원, 아파트 등 많은 사람 이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가 많음. 승강기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승강기 대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승강기 대수의 증가에 비례하여 사고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사고율의 증가는 노후화된 승강기 비중의 증대 및 제조․설치상 .. 2021. 6. 25.